2019 개정 누리과정은 미래사회에 요구되는 능력을 개발하고자 유아중심·놀이중심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유아의 놀 권리 보장과 학습자 중심의 배움을 실천해야 하며, 유아가 주도적으로 놀이하며 스스로 배울 수 있도록 충분한 놀이 공간과 시간 및 놀이 자료가 제공되어야 합니다.
본 자료는 만들어가는 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교사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유아의 놀이상황을 관찰-지원-기록-이해의 맥락으로 제시하는 교사의 놀이 이해자료, 놀이 자료의 다양한 활용 사례를 담은 유치원&가족 놀이로 구성하여 개발하였습니다.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을 학급에서 실천하는 교사들은 놀이자료, 놀이공간, 상호작용 등 지원에 대한 고민을 끊임없이 마주하게 됩니다.
‘오감 톡톡, 신나는 놀이 여행-교사를 위한 놀이 이해 편’에서는 ‘유아’에게 귀 기울이고 ‘놀이’를 들여다보며 고민에 대한 답을 찾고 이해해가는 과정을 담았습니다. 무엇보다 유아들이 주도적으로 만들어가는 놀이 내용과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교사가 놀이의 의미와 배움의 가치를 발견하고 재이해하는 것을 돕고자 하였습니다.
「교사를 위한 놀이 이해」자료를 바탕으로 교실에서 유아들과 의미 있는 「유치원 놀이」자료로 활용되는 디딤돌이 되길 기대합니다.
유아에게 자료는 세상을 만나고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표상하는 매개입니다.
‘오감 톡톡, 신나는 놀이 여행-유치원 놀이 편’에서는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자료가 유아와 만나 놀이 속에서 의미 있게 활용되는 모습을 담았습니다.
유아가 주변의 다양한 자료와 만나고 자신만의 방식으로 놀이하며 배움을 얻을 수 있도록 ‘놀이 자료’를 지원하는 교사의 실천을 돕고자 하였습니다. 또한, 학급에서 일어나는 놀이와 연계하여 본 자료를 지원할 때 유아는 다양한 놀이 자료 활용사례를 봄으로써 자신만의 놀이에 주도적으로 적용하거나 유아에게 의미하는 자료의 가치를 스스로 발견해 갈 것입니다.
또한 가족이 유아의 놀이 친구 또는 놀이 동반자가 되어 즐겁게 놀이할 수 있도록 돕고자 가족놀이 활동을 함께 제시하여 유치원에서의 놀이 경험이 공유되고, 행복한 가족 놀이문화가 만들어져가길 기대합니다.